가. 서류평가 방법(참여 입학사정관 수, 절차 단계, 점수 체계 등)
◦참여 입학사정관 수
- 전체 교원 중 사정관 교육을 이수한 약 40명의 교원이 참여함
- 지원자 1인에 대하여 다수(2~3인)의 입학사정관이 평가함
◦절차 단계
- 서류평가위원 위촉 > 평가위원 사전교육 > 유사도 검색 > 평가위원 배정 > 서류평가 시행 > 전형별 평가위원 평균과 표준편차를 일치시킨 교직 적성 점수와 교직인성 점수를 합산하여 산출함
◦점수 체계
영 역 |
배 점 |
A+ |
A |
B |
C |
D |
1 |
0.9 |
0.8 |
0.7 |
0.6 | ||
변혁적 지성 |
34 |
34 |
30.6 |
27.2 |
23.8 |
20.4 |
탁월한 품성 |
28 |
28 |
25.2 |
22.4 |
19.6 |
16.8 |
발전 잠재력 |
38 |
38 |
34.2 |
30.4 |
26.6 |
22.8 |
합 계 |
100 |
100 |
90 |
80 |
70 |
60 |
나. 전형자료 : 학생부, 자소서, 추천서
다. 서류 종합평가의 방법(내용) : 교과+비교과(비교과 내용 중 동아리활동이나 수상실적, 세부능력
특기사항, 독서, 봉사 등) 평가 방법
◦세부능력 및 특기사항
- 과목 담당 교사의 개별적인 관찰 기록에서 자기주도적 사례 평가
- 수행평가 등에서 창의적 사고력, 탐구능력 평가
- 주요과목과 관련한 심화과목 이수여부를 확인하고 이수 이력이 있을 경우 성취 결과와 더불어 평가 자료의 다른 항목과 연계하여 종합적 평가
◦창의적 체험활동
- 동아리활동 등에서 인지적 영역 관련 활동을 대상으로 하며 관련 이력이 있는 경우 활동 내용 및 특기사항 확인
- 단순한 양적 활동실적보다는 학생의 진보의 정도, 자발성, 참여도, 행동의 변화 등 종합평가
◦독서활동
- 독서의 종류에 대한 다양성 평가
- 교육관련 독서활동의 수준에 따른 평가
◦수상경력
- 수상의 종류나 수준으로 창의적 사고나 탐구능력 평가
- 교외상, 교과우수상은 평가대상에서 제외
- 참가대상의 규모, 상의 등급과 등위, 공동시상 내역 등을 고려하여 평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