가. 교과 영역 평가 방법
- 과목편식 여부: 전 과목에서 골고루 성취도가 높은 경우를 우수하게 판단
- 추이의 판단
∘ 매학기 우수한 성취 : 매우 긍정적
∘ 매학기 상승적 성취 : 긍정적
(지속적으로 향상되었을 경우, 최근 성적 수준을 기준으로 판단)
∘ 매학기 성취도 하락 : 부정적
(지속적으로 하락되었을 경우, 최근 성적 수준을 기준으로 판단)
∘ 매학기 낮은 성취 : 매우 부정적
나. 학생부종합전형 1단계 합격자 성적 분포
전형명 |
선발배수 |
1단계 합격 |
내신등급 | ||||
남 |
여 |
계 |
최고 |
평균 |
최저 | ||
교직적‧인성인재 |
× 3 |
66 |
258 |
324 |
1.02 |
1.77 |
5.02 |
강원교육인재 |
× 2 |
41 |
103 |
144 |
1.00 |
1.97 |
5.63 |
국가보훈대상자 |
× 3 |
3 |
9 |
12 |
1.36 |
2.00 |
3.28 |
다문화가정의 자녀 |
× 3 |
1 |
5 |
6 |
1.13 |
1.83 |
2.25 |
농어촌학생 |
× 3 |
2 |
22 |
24 |
1.00 |
1.40 |
1.85 |
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|
× 3 |
5 |
22 |
27 |
1.05 |
1.61 |
2.58 |
특수교육대상자 |
× 3 |
4 |
11 |
15 |
1.31 |
2.68 |
5.48 |
계 |
|
122 |
430 |
552 |
- |
- |
- |
※ 수시 전형은 학생부 종합전형으로 지성, 품성, 잠재력을 측정합니다.
내신등급은 참고용으로만 활용하십시오.